2025년 4대보험은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으로 구성된 필수 사회보장제도입니다.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하며,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4대보험 요율, 계산 방법, 원천징수 내역과의 차이 발생 이유를 상세히 설명합니다.
2025년 4대보험 요율 계산기 바로가기
국민연금
- 요율: 총 9% (근로자 4.5%, 사업주 4.5%)
- 역할: 노후 소득 보장 (노령연금, 장애연금, 유족연금)
- 예시: 월 소득 400만 원 기준
- 근로자 부담: 18만 원
- 사업주 부담: 18만 원
건강보험
- 요율: 총 7.09% (근로자 3.545%, 사업주 3.545%)
- 장기요양보험료: 건강보험료의 약 12.95% 추가 부담
- 역할: 의료비 지원 및 질병 치료비 보장
- 예시: 월 소득 400만 원 기준
- 근로자 부담: 약 14만1800원 (건강보험료) + 약 1만8160원 (장기요양보험료)
- 사업주 부담: 동일 금액
고용보험
- 요율: 총 1.8% (근로자 0.9%, 사업주 0.9%)
- 역할: 실업급여 및 고용안정 지원
- 예시: 월 소득 400만 원 기준
- 근로자 부담: 약 3만6000원
- 사업주 부담: 약 3만6000원
산재보험
- 요율: 업종별 차등 적용 (평균 약 1.47%)
- 역할: 업무 중 사고 및 질병 보상
- 부담 주체: 전액 사업주 부담
4대보험 계산 방법
계산 공식:
보험료=월 소득×요율
예시:
보험 종류 | 근로자 부담 | 사업주 부담 | 총액 |
---|---|---|---|
국민연금 | 18만 원 | 18만 원 | 36만 원 |
건강보험 | 약 14만1800원 + 약 1만8160원 (장기요양) | 약 14만1800원 + 약 1만8160원 (장기요양) | 약 28만3600원 + 약 3만6320원 (장기요양) |
고용보험 | 약 3만6000원 | 약 3만6000원 | 약 7만2000원 |
산재보험 | 없음 | 업종별 상이 | 업종별 상이 |
원천징수 내역과의 차이 발생 이유
"4대보험 계산기와 원천징수 금액이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"
- 과세 급여 변동: 급여 인상, 상여금 지급 등으로 과세 소득이 변동되면 보험료와 공제 금액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국민연금 소득월액 반올림: 국민연금은 천 원 단위 미만을 절사하여 계산되므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입·퇴사 정산: 입사 또는 퇴사 시 중도 신고로 인해 일부 보험료가 다음 달에 소급 적용될 수 있습니다.
- 공단 또는 회계 착오: 공단에서 잘못된 금액을 고지하거나 급여 담당자가 실수를 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
차이를 해결하는 방법
- "급여 명세서 확인": 급여 명세서를 통해 공제된 보험료와 원천징수 내역을 비교하세요.
- 👉 국민연금공단 문의하기
[관련 글]